목록대리자 (3)
어딘가에 굴러다니는 개발자 블로그
책에 있는 이벤트 문제를 풀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369게임을 하는데 9까지 3의 배수는 짝을 출력, 단 조건은 이벤트로 구성할것!! (-_-)... 네... 이벤트 정리 부분을 보신 분들께서는 생각하실것입니다... 이거 예제로 적혀있던 책이랑 너무 비슷한데? 정답입니다... 배꼇어요 ㅋㅋㅋ 새로운 형태를 만들수도 있는데 시간도 걸리고 어려울것같아서 그냥 배껴버렸습니다.(정성이 없는 포스팅은 포스팅이 아니야!) 어쨋든 해야지 해야지 맘만먹고 귀차니즘에 허덕여서 안하고 있던 이벤트문제를 풀었군요 담에는 예외 처리 부분에 들어가게됩니다. 그럼 (ㅂ_ㅂ)/~
using System; class calculator{ Public delegat float execute(float a, float b); public execute Execute; } class MainApp{ Public static float Plus(float a, float b){ return a+b; } Public static float Minus(float a, float b){ return a-b; } static void Main(){ calculator calc = new calculator(); calc.Execute = new calculator.execute(plus); console.writeline(calc.Execute(2,5)); calc.Execute = new ca..
델리게이트는 대리자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능도 대리자이지요. 델리게이트는 호출이돼면 자신을 참조하고있는 메소드를 실행하게됍니다. 2016-01-16 추가델리게이트의 동작 방식델리게이트는 일종의 C의 함수포인터와 같은 기능이고 단지 타입의 검사가 엄격하다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델리게이트를 선언, 등록하여 호출하게되면 실제 컴퓨터는 델리게이트가 지시하고 있는 함수의 메모리 주소(명령 주소)로 이동하여 실행하게 됩니다. 델리게이트가 이해가 안되신다면 C의 함수포인터를 이해하고 오시면 편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델리게이트의 선언과 사용 델리게이트를 사용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되어야 합니다. - 델리게이트 선언 - 델리게이트에 대리 실행할 메쏘드 등록 - 델리게이트 호출 델리게이트선언을..